PostgreSQL 2

DB를 선택하는 기준

매번 프로젝트를 할때마다어떤 기준으로 어떤 DB를 선택해야 할지 궁금했다. 그런데 매번 그럴때 마다 깊게 고민하지 않고항상 기존에 많이 사용했었던 DB를 사용했던 것 같다나는 주로 MySQL/MariaDB를 사용했었다. 하지만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MSA기반 프로젝트도 몇개씩 늘어나면서, 대용량 트래픽, 성능 개선 등등을 위해서DB를 선택하는 근거와 명분을 찾고 싶었다.   인기 있는 DBMS   이건 DB-Engines 에서 가져온2025 4월 기준 DB 랭킹이다 예상한 대로 유명한 DBMS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예전에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DB니깐 그냥 사용해보자!라는 생각으로 DB를 정했던 것 같기도 하다 ㅋㅋ    MySQL vs PostgreSQL  그래도 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ec2/로컬 에서 RDS에 접근 하기 (aws ec2, postgreSQL, pgadmin, 삽질에 중독된 개발자)

안녕하신가..!오늘은 하루종일 삽질을 하게된 나의 썰을 풀어보려고 한다!!!그전에 주저리 주저리 내가 겪은 고통을 공유하고 싶다...! 내 주저리주저리를 알고 싶지 않다면 바로 밑으로 가서"1. RDS 구축하기 " 부터 확인하길 바란다...!   0. RDS를 사용하게 된 이유먼저, RDS란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AWS Relational Database Service를 줄여서 AWS RDS라고 한다. AWS에서 손쉽게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모니터링, 백업, 알람 등의 관리를 할 수 있고 자동화된 운영 작업을 제공해준다! RDS를 사용하게 된 이유는 별게 아니다.원래는 ec2에서 springboot, nginx proxy manager, postgresql, pgadmin..

DevOps/AWS 2025.02.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