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6

조상님 볼 뻔한 ec2에서 Restemplate 통신하기 (container 환경에서)

하하하! 조상님을 보고 올뻔 했다!프로젝트 마감이 오늘 오후 6시까지인데,기능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것!! 서버로그를 뒤져보니, GET요청이 안간다고??알고보니 또 RestTemplate으로 구현한 StoreClient 부분이 요청이 안갔던 것이었따...  더보기이건 현재 서버 상황이다(신세한탄입니다. 안봐주셔도 되어요) 현재 ec2 서버에서 컨테이너 2개를 돌리고 있는 상황이다. 스프링 부트 이미지, nginx proxy manager 총 2개를 돌리고 있는데,ec2(프리티어 ㅎㅎ)서버에서 컨테이너를 3개이상 돌리는 것도 정말 무리인거 같다 원래는 postgreSQL까지 컨테이너로 돌렸는데 서버가 터져서 swap()이란 방식으로 ec2 HDD 일부를 ram처럼 사용해서서버 ram 가용량을 늘려서 사용중..

DevOps/AWS 2025.02.27

ec2/로컬 에서 RDS에 접근 하기 (aws ec2, postgreSQL, pgadmin, 삽질에 중독된 개발자)

안녕하신가..!오늘은 하루종일 삽질을 하게된 나의 썰을 풀어보려고 한다!!!그전에 주저리 주저리 내가 겪은 고통을 공유하고 싶다...! 내 주저리주저리를 알고 싶지 않다면 바로 밑으로 가서"1. RDS 구축하기 " 부터 확인하길 바란다...!   0. RDS를 사용하게 된 이유먼저, RDS란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AWS Relational Database Service를 줄여서 AWS RDS라고 한다. AWS에서 손쉽게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모니터링, 백업, 알람 등의 관리를 할 수 있고 자동화된 운영 작업을 제공해준다! RDS를 사용하게 된 이유는 별게 아니다.원래는 ec2에서 springboot, nginx proxy manager, postgresql, pgadmin..

DevOps/AWS 2025.02.21

AWS 환경에서 docker container 로 배포하기!! (http 배포)

프로젝트를 완성하면 배포를 진행하게 되는데,배포를 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이번 방법은 도커 컨테이너를 통해서aws ec2 서버에 배포를 하는 것이다 결론만 말하자면 docker-compose up -d 명령어 만으로 배포가 된다는 것!최종적으로는 http로 배포하지만, https로 배포는 나중에 포스팅할 예정이다.물론 https배포 전, 이 과정은 필요하다1. ec2 인스턴스 생성이 부분은 모두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나는 aws 프리티어이기 때문에, 프리티어에사 사용가능한 서버를 대여해서 사용할 예정이다 1. 서버 이름 작성2. os는 ubuntu를 선택하고3. 프리티어에서 사용가능한 t2.micro 서버를 선택!4. 키페어 생성!5. 아래와 같은 옵션 선택을 진행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된..

DevOps/AWS 2025.02.19

깃 컨벤션 맞추기

1. 중요한 깃 컨벤션 개발자들은 수많은 협업을 수행하면서 그들이 지닌,그들만의 컨벤션이 존재합니다.그러한 컨벤션들은 시행착오를 거쳐가면서 보편적인 모듈로 자리잡습니다. 지금은 깃 컨벤션에 대해서 이야기 해봅시다! 협업을 할때는 깃 컨벤션이 매우 중요합니다!왜 중요할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아래 커밋 메세지를 보도록 합시다.이 얼마나 성의 없는 커밋 메세지 인가요회원탈퇴 기능 수정(너무 대충 작성한 커밋 메세지)     아래의 커밋 메세지는 어떠한가요?너무나도 친절한 커밋메세지에 기분이 날아갈것만 같습니다.[feat]: 회원탈퇴 기능 수정[목적]: 기존 hard-delete 방식 대신, soft-delete 방식을 적용하여 기능 수정을 하기 위해서. [목표]: soft-delete 방식으로 회원탈퇴를..

DevOps/git 2025.02.12

Docker의 Volume과 Network를 알아보자

1. Volume과 Network를 알고 싶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마다 docker-compose를 사용하여 프로젝트 초기 세팅을 진행한다.docker-compose는 극강의 편리함을 제공해주기 때문에쓰지 않을 수가 없는데, 사용하다 보면 volume, network 옵션을 확인할 수 있다. 매번 프로젝트를 진행했지만, volume은 컨테이너가 사용하는 데이터 공간,network는 컨테이너간 소통하기 위한 것 정도만 알았다. 이번 기회에 알아보도록 하자   2. Volumevolume왜 존재하는가? -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서(보통 /var/lib/docker/volumes/ 위치에 볼륨 폴더가 생성된다) 그렇다면 뭐가 좋아서 사용하는 거야?아래와 같은 여러가지 이유 때문이다 더보기- 컨테이너는 사용하..

DevOps/Docker 2025.02.11

CI/CD는 뭘까, 도대체 왜 사용하는걸까? (Github Actions)

1. CI/CD 너 도대체 누구냐? 계속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CI/CD를 하자! 파이프라인 구축하자!"라는 소리는 많이 들어왔지만,정작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지는 잘 몰랐다.지속적통합, 지속적배포라는 뜻만 알고 있었을 뿐이다.궁금했기도 했고, 개발공부도 하던 참에 CI/CD를 구현해보기로 했다. 2. Github Actions 넌 또 뭐야 CI/CD를 위해서는 먼저 Github Actions 혹은 jenkins가 필요하다.난 Github Actions를 사용했다. Github Actions는, 깃허브에 내장되어 있는 CI/CD 도구여서 github와 통합이 쉽고, CI/CD 서버가 내장 되어 있어서 따로 CI/CD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repo가 public일 경우에 무료이고, 일정 ..

DevOps/CI,CD 2025.02.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