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싱 2

캐싱 전략 (Chache-Aside, Write-Through, Write-Behind)

우리가 Redis를 많이 활용하는 이유 중 하나는 '캐싱' 때문이다. 1. Cache 캐시는 원래 CPU 내부의 작은 영역으로, 엄청 자주 접근하게 되는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임시 기억 장치이다  기본적으로는 영속성을 위해서 데이터를 파일시스템(디스크)에 저장하고,빠른 활용이 필요한 데이터는 RAM에 저장한다면, ㅈㄴ많이 사용되는 휘발성 데이터는 캐시에 저장된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위의 그림은 우리같은 개발자가 다루는 캐시 전략이 아니다.하드웨어를 일부 보여준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캐시에 착안하여웹 개발에 적용하면, 빈번하게 접근하게 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레디스 등의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을 함으로써데이터를 조회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자원을 감소시키는 기술로서 캐싱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

프로젝트에 Redis를 도입하는 근본적인 이유 (feat. 기술 면접)

0. 우당탕탕 모의 기술 면접 최근, 기술 면접(모의 면접)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경험해보았다.이번 기술면접은 스프링 위주의 질문들이 대부분이었다. 아무래도 지금 하고 있는 부트캠프가 스프링부트 관련이다 보니,면접관(멘토님)이 스프링 부트 관련 질문만 하실 수 밖에 없다. 면접 질문의 절반은 대답을 못한 것 같다...아무래도 프로젝트에만 집중을 하고, 스프링부트 관련 개념들과 동작방식은구체적으로 공부하지 못한 탓이라고 생각한다.(그래도 프로젝트 관련 질문은 답변을 할 수 있었다!! 하하..?..하?)  그러다가 Redis 관련 질문이 나왔고,Redis를 왜 사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그때 나는,대용량 트래픽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몰리는 쿼리 수행으로 인한 데이터베이스 과부하를 방지하고자캐싱..

728x90